이상석교수 프로필 자세히보기

전체보기 131

마케팅 전략 수립의 시작, STP 전략.

지난 호에서는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 맞서 기업 내 마케팅 활동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을 언급한바 있다. 기업을 경영함에 있어 마케팅 기능의 효과성을 인식하였다면 지금부터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본이 되는 전략적 프레임(frame)을 기초부터 밟아 나가는 과정이 수행되어야만 할 것이다. 수학 문제를 풀기위해서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의 사칙연산 기초 지식이 반드시 필요하듯,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본이 되는 이론적 지식을 알아야만 시장(market) 및 고객(customer)의 흐름과 요구에 상응하는 경영이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경영대학원(MBA)의 마케팅 분과 교육과정에서는 마케팅의 관련 지식이 전혀 없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장 먼저 STP전략 수립 과정..

어떤 양손잡이 인재가 될 것인가?

‘오른손잡이’ 시대의 종말을 고하다 어린 시절 까마득한 기억 속엔 왼손잡이였던 내가 있다. 유독 왼손의 사용이 편하게 느껴져서 밥을 먹을 때도, 동네친구들과 뛰어 놀 때도 언제나 왼손이 우선이었다. 그랬던 내가 ‘오른손잡이’로 전환한 계기가 있었으니, 개구쟁이 형과 장난 중 넘어지면서 왼팔이 골절된 사건이 그것이다. 사회적 통념상 ‘오른손잡이’가 표준이자 정상으로 여겨지던 때였으니 어머님께서도 이때다 싶어 내 성향을 바꾸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셨던 기억에 웃음이 난다. 사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오른손잡이’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마틴 바인만이 쓴 에선 전 세계 인구 중 10% 가량의 왼손잡이들과 이보다 훨씬 적은 수의 양손잡이들을 제외한 85% 이상의 인간이 오른손잡이로 살아가고 있음을 밝히고 있..

불안한 세계 경제 상황 : 코로나19 , 경제 위기의 트리거가 될 것인가?

1) 오늘은 어떤 이야기 해볼까요? A1. - 3월 둘째 주는 코로나19 사태를 필두로 다양한 악재들이 출현하면서 전 세계 경제가 휘청대는 모습을 보여준 정말 힘들고 불안정한 주였음. 8년 가까이 경제 방송을 다뤄왔는데.. 그 기간 중 거의 손가락에 꼽을 정도로 여러 가지 악재들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온 힘든 기간이었음. - 현재 대한민국 외에도 글로벌 전체 시장에서 불안한 모습이 감지되고 있는데.. 오늘은 글로벌 시장의 불안정한 경제 상황들을 짚어보는 시간 가져보도록 하겠음. 2) 네- 대한민국 증시도 지난 몇 년간 크게 올랐던 지수를 모두 반납하고 제자리로 올만큼 상황이 좋지 않아 보입니다. 어디서부터 이야기를 해볼까요? A 2. - 과거 메르스 사태는 전 세계 경제에 타격을 주던 시점만 하더라도, 세..

[오디오] 신종코로나바이러스와 경기침체

1) 오늘은 어떤 이야기 해볼까요? A1. -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경제계의 타격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음. 질병이 발병하였던 1월 말에서 2월 초까지만 하더라도, 중국 내 심각한 질병 문제 정도로만 여겨졌었던 사태가 국내 신천지 교인들의 집단 감염 및 2차 감염 확산으로 이어지면서 급기야 지금은 경제가 멈춰섰다는 표현이 맞을 정도로 사회 곳곳에 냉기가 돌고 있는 실정임. - 오늘은 대한민국 내 코로나19의 확산 이후, 달라진 경제적 상황을 다각도로 짚어보고 점검해 보는 시간 가져보도록 하겠음. 2) 네- 정말 큰 일입니다. 대구, 경북에서 시작된 감염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며 국민들의 공포심이 확대되었네요- A 2. - 네- 최근 몇 년 동안 기억에 남는 위기들이 있었음. 가깝게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혼돈의 시대, “Why”에 집중하라.

- 이 글은 2017년 1월에 기고된 글입니다- 불안정한 경영 환경 2016년 전 세계 국가들은 그야말로 혼돈의 상황을 경험하였다. 30년 가까이 진행되어 온 세계화의 한계점이 여실히 드러났으며 각 국가별, 집단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그간 곪을 대로 곪아왔던 사회적 문제가 동시다발적으로 터져버렸기 때문이다.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가 동조화(coupling) 된 경제시스템으로 인한 ‘경제적 위기’로 요약될 수 있다면, 2016년은 각 국가별 ‘세계화’로 인해 진행되어 왔던 어두운 면이 수면위로 떠오른 ‘총체적 위기’로 정리 될 수 있겠다. 세계적으론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이탈리아 개헌 실패로 인한 정권교체, 다수의 예상이 빗나간 미 대선의 결과 등이 주요한 이슈로 떠올랐는데, 표면적..

플러스 알파(+α)의 시대, 마케팅에서 답을 찾자.

흔히 ‘기본 이상의 것이 요구될 때’ 우리는 플러스 알파(+α)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언제 이 같은 요인의 필요성이 증대되는 것일까? 철저하게 기본을 지키는 것만으로 모두에게 인정받을 수 있던 시기가 있었다. 산업화 초기 과정에서 고객들을 위한 제품의 공급 자체가 부족하던 시기가 특히 그러했다. 시장에 진입하여 대량생산을 통해 ‘기본’을 갖춘 제품을 고객의 품안에 안겨주던 시기에 고객들의 만족에 눈높이는 ‘기본’에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시대는 급변해 갔다. 기업 간 끊임없는 경쟁을 통해 제품의 성능은 상향평준화를 이루었고, 고객들은 비슷한 ‘기본’을 갖춘 제품들 속에서 자기들만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을 골라내는 구매지능이 향상되기에 이르렀다. 경영환경은 나날이 치열해져가고..

이상석 박사 프로필

이상석 박사는 세부적으로 국제경영 및 전략(석사), 인사조직(박사) 등 경영학을 전공하고, 현재는 다양한 방송사에서 경제 뉴스를 전달하는 전문 패널, (주)세계화전략연구소 대표,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겸임교수 등을 역임 중입니다. 다양한 기업 및 지자체, 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산업강사 활동 역시 왕성하게 진행 중에 있습니다. 주요 경력 (현) 세계화전략연구소 대표 (현)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 사외이사 (현)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겸임교수 (현) BBS FM 101.9MHz '아침 저널' 경제 패널 (현) 외식업체 '보리네주먹고기' 대표 (현) 한국인사관리학회 이사 (현) Youtube '이박사성공TV' 채널 운영 (전) 충남도립대, 동원대학교, 유한대학교 겸임 및 강의 교수 (전) KBS 2, KBS 3, ..

카테고리 없음 2019.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