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6 대한민국 경제 위기의 전조? 석유화학·건설업 위기가 알리는 신호 대한민국 수출의 견인차 역할을 해왔던 석유화학 업종의 부진이 매우 심각한 수준입니다 또한, 내수 시장의 대들보 역할을 하는 건설업 역시 심각한 침체를 이미 겪고 있습니다. 수출과 내수 양쪽에서 큰 역할을 하는 산업들이 동반 부진을 겪자, 이를 두고 이러다가 진짜 잘못 되는거 아니야? 라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석유화학 업게 5위인 여천NCC의 부도 위기설이 돌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불과 5년만에 매출이 1/6 톡막 날 정도록 매우 심각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이것과 관련한 흐름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6HrQRemTPU 건설업 역시도 부동산 버블의 여파와 프로젝트 파이낸싱 문제 등으로 매우 심각한 상황.. 2025. 8. 23. 2025년 하반기, 대한민국 경제 위기 징후…정부의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때 정부의 컨트롤 타워가 다시금 돌아가며 그나마 다행인 상황에 접어들었지만 과거부터 쌓여온 업보로 위기 상황은 계속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나마 정상적인 경제상황으로의 회귀를 원한다면 그간의 부실을 정리하고 가는 것이 낫겠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쉽지 않은 상황에서 2025년 하반기에 접어든 지금, 대한민국 경제 전반에 이상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수출 부진, 내수 침체, 청년 체감실업률 상승, 자영업 붕괴 등 복합적인 리스크가 동시다발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많은 경제 전문가들은 올해 하반기를 ‘중대한 기로’로 보고 있다. 현재의 경기 흐름을 방치할 경우, 단순한 경기 저하를 넘어 구조적인 침체에 진입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소비는 얼어붙고, 심리는 위축됐다2025년 상반기.. 2025. 7. 29. 분열과 혼란의 대한민국, 이대로는 정말 위험하다. 정말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경제와 경영 분야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써 현재의 상황은 그야말로 최악에 가깝습니다. 홈페이지에 종종 올려드렸던 글을 확인해 보시면 저는 참 오래전부터 작금의 상황처럼 될 한국 경제를 진심으로 걱정해왔었는데요. 이제는 우려 수준을 넘어 현실화가 되었다는 점에서 마음이 매우 무겁습니다. 작년 말, 가뜩이나 어려운 대한민국 경제에 엄청난 부담을 가중시키는 계엄과 탄핵관련 이슈가 발생했습니다. 그리고 2025년 새로운 한 해의 스타트 시점에서 여전히 양 진영간의 갈등과 분열, 혼란만을 키우며 민생이 도태되는 상황에 이르고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은 노선과 이데올로기의 분열과 갈등이 그 어느 때보다 심화된 상황으로 여겨집니다. 양 진영간의 갈.. 2025. 1. 8. '금리 인하'는 없다. 총선이 끝났습니다- 이번 총선의 결과는 현 정부 정책들에 대해 국민들이 어떤 생각을 직, 간접적으로 보여준 사례라는 생각이 드네요- 총선이 끝나자 계속적으로 제기되어 오던 '4월 위기설'이 도마위에 올랐습니다. 지난 블로그 글들을 통해 이상 경제 징후나 위기감 고조 등에 대해 말씀을 드려왔었는데.. 24년 4월의 정치 이벤트를 앞두고 어떻게든 위기적 상황을 보여주지 않으려는 정부의 노력이 반영되며 어려운 경제 상황이 다소 축소적으로 해석되는 경향이 큰 시기였습니다. 한국은행에서도 총선이 끝나자마자 기준금리 정책에 대한 스탠스를 바꾸며 기존 올해 "상반기 내 금리인하 목표"를 "하반기 금리인하도 어려울 것"이라고 시장에 메시지를 전달한 상태입니다. 이는 아마도 미국 FRB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과 미국의 .. 2024. 4. 1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