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원맛집3

<싱싱라디오> 이상석 교수 방송 샘플 1. 시간이 흘러 어머님과의 좋은 추억으로 기억될 방송입니다. 어머님께서 방송을 들으시면서 흐믓해 하셨었죠. 나중까지 귀하게 간질할 방송이여서 올립니다. 12분 30초부터 들으시면 됩니다. ------------ 10년이 넘게 라디오 방송 생활을 하고 있는데, 이렇게 즐겁고 재미있는 분위기의 코너에서 경제 이야기를 하는 것은 처음이네요 ^^ 경제 이야기를 떠나 점심 후 많은 분들이 힐링의 시간을 보내실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101.9MHz입니다. --------- 2025. 8. 28.
세상에 목숨보다 중한게 어딨나? : 산업재해 관련 정부의 스탠스와 평가. 이재명 정부가 들어서며 산업 현장에서 벌어지는 재해관련 사건사고에 대해 해당 기업 및 기관에 과거보다 엄격한 잣대와 기준을 내세우는 분위기가 강해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런 정부의 태도가 기업들의 활동과 자율성을 제한하게 될 것이라 우려하는 시각이 있는 반면, 지금이라도 잘못된 문화는 바로 잡아야 한다는 주장 역시 팽팽히 맞서는 상황이다. 필자는 이런 문제에 대해 우리 나라의 산업재해 수준이 어느정도인지를 파악하여 현재 우리의 상황을 객관화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가장 위험한 직업군으로 꼽히는 군인이나 경찰, 소방대원보다도 훨씬 더 많은 사망자가 산업현장에서 나오고 있다. 기업의 이익률 감소, 자율성 침해가 자본주의 사회의 매우 중요한 고려 요인이 되는 것은 사실이나, 개개인의 목숨의 가치.. 2025. 8. 27.
맥을 제대로 짚은 '가계부채 억제안' : 전세 제도로까지의 확대 블로그를 통해 오랫동안 주장해왔지만, 현재 대한민국 경기 침체의 원흉은 '가계부채'였다. 정권을 떠나 가계부채의 총량과 수준을 고려해보았을 때, 당연히 대출을 억제하고 조절했어야 했다. 문재인 정권의 뒤늦은 DSR제도의 도입과 윤석열 정권의 DSR우회 특례제도 등이 대표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 부동산 시장 버블의 핵심은 '전세제도'에 있었다. 전세 제도를 활용하는 국가는 굉장히 드물다. 우리와 비슷한 경제 수준을 영위하는 OECD 국가 중 사례를 찾기 힘들 정도다. 세입자들이 수십년간 지불할 월세의 가치를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전세금으로 환산하고 이를 집주인의 집에 보증금으로 넣어 거주하는 형태인 전세 제도는 집주인은 전세금을 제외한 차액만큼만의 금액으로 집을 소유할 수 있다는 장점을, 세입자는.. 2025.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