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5 제 2금융권 부실, 돌이킬 수 없는 상태로 접어들고 있다. https://biz.sbs.co.kr/article/20000263192?division=NAVER 신협도 흔들린다...부동산 PF에 재정 거덜[앵커]상호금융인 신협 건전성에 적신호가 켜졌습니다.침체된 지방 부동산에 자금을 쏟아부은 신협에서 자본잠식 조합이 속출하고 있습니다.급기야 전국 20위권 대형 조합까지 흔들리며 신협biz.sbs.co.kr 요즘 경제 뉴스를 보다 보면, 자꾸 ‘2금융권 부실’이라는 말이 눈에 들어옵니다. MG새마을금고, 신협, 캐피탈사, 저축은행 같은 곳들이 다 포함되는데요. 사실 이런 금융기관들은 서민과 중소상공인의 가까운 금융 창구 역할을 해왔습니다. 은행보다 접근성이 좋고, 대출 문턱도 낮으니까요. 그런데 지금 상황은 ‘서민 금융의 안전망’이 아니라 오히려 경제 위기의 .. 2025. 10. 1. 분열과 혼란의 대한민국, 이대로는 정말 위험하다. 정말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경제와 경영 분야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써 현재의 상황은 그야말로 최악에 가깝습니다. 홈페이지에 종종 올려드렸던 글을 확인해 보시면 저는 참 오래전부터 작금의 상황처럼 될 한국 경제를 진심으로 걱정해왔었는데요. 이제는 우려 수준을 넘어 현실화가 되었다는 점에서 마음이 매우 무겁습니다. 작년 말, 가뜩이나 어려운 대한민국 경제에 엄청난 부담을 가중시키는 계엄과 탄핵관련 이슈가 발생했습니다. 그리고 2025년 새로운 한 해의 스타트 시점에서 여전히 양 진영간의 갈등과 분열, 혼란만을 키우며 민생이 도태되는 상황에 이르고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은 노선과 이데올로기의 분열과 갈등이 그 어느 때보다 심화된 상황으로 여겨집니다. 양 진영간의 갈.. 2025. 1. 8. '금리 인하'는 없다. 총선이 끝났습니다- 이번 총선의 결과는 현 정부 정책들에 대해 국민들이 어떤 생각을 직, 간접적으로 보여준 사례라는 생각이 드네요- 총선이 끝나자 계속적으로 제기되어 오던 '4월 위기설'이 도마위에 올랐습니다. 지난 블로그 글들을 통해 이상 경제 징후나 위기감 고조 등에 대해 말씀을 드려왔었는데.. 24년 4월의 정치 이벤트를 앞두고 어떻게든 위기적 상황을 보여주지 않으려는 정부의 노력이 반영되며 어려운 경제 상황이 다소 축소적으로 해석되는 경향이 큰 시기였습니다. 한국은행에서도 총선이 끝나자마자 기준금리 정책에 대한 스탠스를 바꾸며 기존 올해 "상반기 내 금리인하 목표"를 "하반기 금리인하도 어려울 것"이라고 시장에 메시지를 전달한 상태입니다. 이는 아마도 미국 FRB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과 미국의 .. 2024. 4. 17. 태풍의 조짐이 일고 있는 국, 내외 경제 상황 : 2023년 경기 분석 오랜만에 국, 내외 경제 상황 관련 글을 씁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에게는 좋은 판단과 방향성을 잡는 계기가 되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일단 어젯밤 미국 FED에서 다시 한번 기준금리를 0.25%point 인상하며 금리 상승 기조를 이어갔습니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33113&ref=A 美 연준, 금리 0.25%p 또 인상…“연내 금리 인하 없어” [앵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0.25%p 또 인상했습니다.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사태로 일각에선 '... news.kbs.co.kr 제가 방송을 통해 재작년 말부터 작년 초까지도 미국 연방준비은행의 고금리 정책 상황에 대비해야 할 것이며, 이것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2023. 3. 2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