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위기4

분열과 혼란의 대한민국, 이대로는 정말 위험하다. 정말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경제와 경영 분야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써 현재의 상황은 그야말로 최악에 가깝습니다.   홈페이지에 종종 올려드렸던 글을 확인해 보시면  저는 참 오래전부터 작금의 상황처럼 될 한국 경제를 진심으로  걱정해왔었는데요. 이제는 우려 수준을 넘어 현실화가  되었다는 점에서 마음이 매우 무겁습니다.   작년 말, 가뜩이나 어려운 대한민국 경제에 엄청난 부담을  가중시키는 계엄과 탄핵관련 이슈가 발생했습니다.  그리고 2025년 새로운 한 해의 스타트 시점에서  여전히 양 진영간의 갈등과 분열, 혼란만을 키우며  민생이 도태되는 상황에 이르고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은 노선과 이데올로기의 분열과 갈등이  그 어느 때보다 심화된 상황으로 여겨집니다.  양 진영간의 갈.. 2025. 1. 8.
'금리 인하'는 없다. 총선이 끝났습니다- 이번 총선의 결과는 현 정부 정책들에 대해 국민들이 어떤 생각을 직, 간접적으로 보여준 사례라는 생각이 드네요- 총선이 끝나자 계속적으로 제기되어 오던 '4월 위기설'이 도마위에 올랐습니다. 지난 블로그 글들을 통해 이상 경제 징후나 위기감 고조 등에 대해 말씀을 드려왔었는데.. 24년 4월의 정치 이벤트를 앞두고 어떻게든 위기적 상황을 보여주지 않으려는 정부의 노력이 반영되며 어려운 경제 상황이 다소 축소적으로 해석되는 경향이 큰 시기였습니다. 한국은행에서도 총선이 끝나자마자 기준금리 정책에 대한 스탠스를 바꾸며 기존 올해 "상반기 내 금리인하 목표"를 "하반기 금리인하도 어려울 것"이라고 시장에 메시지를 전달한 상태입니다. 이는 아마도 미국 FRB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과 미국의 .. 2024. 4. 17.
태풍의 조짐이 일고 있는 국, 내외 경제 상황 : 2023년 경기 분석 오랜만에 국, 내외 경제 상황 관련 글을 씁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에게는 좋은 판단과 방향성을 잡는 계기가 되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일단 어젯밤 미국 FED에서 다시 한번 기준금리를 0.25%point 인상하며 금리 상승 기조를 이어갔습니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33113&ref=A 美 연준, 금리 0.25%p 또 인상…“연내 금리 인하 없어” [앵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0.25%p 또 인상했습니다.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사태로 일각에선 '... news.kbs.co.kr 제가 방송을 통해 재작년 말부터 작년 초까지도 미국 연방준비은행의 고금리 정책 상황에 대비해야 할 것이며, 이것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2023. 3. 23.
불안한 세계 경제 상황 : 코로나19 , 경제 위기의 트리거가 될 것인가? 1) 오늘은 어떤 이야기 해볼까요? A1. - 3월 둘째 주는 코로나19 사태를 필두로 다양한 악재들이 출현하면서 전 세계 경제가 휘청대는 모습을 보여준 정말 힘들고 불안정한 주였음. 8년 가까이 경제 방송을 다뤄왔는데.. 그 기간 중 거의 손가락에 꼽을 정도로 여러 가지 악재들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온 힘든 기간이었음. - 현재 대한민국 외에도 글로벌 전체 시장에서 불안한 모습이 감지되고 있는데.. 오늘은 글로벌 시장의 불안정한 경제 상황들을 짚어보는 시간 가져보도록 하겠음. 2) 네- 대한민국 증시도 지난 몇 년간 크게 올랐던 지수를 모두 반납하고 제자리로 올만큼 상황이 좋지 않아 보입니다. 어디서부터 이야기를 해볼까요? A 2. - 과거 메르스 사태는 전 세계 경제에 타격을 주던 시점만 하더라도, 세.. 2020. 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