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상석교수45

세상에 목숨보다 중한게 어딨나? : 산업재해 관련 정부의 스탠스와 평가. 이재명 정부가 들어서며 산업 현장에서 벌어지는 재해관련 사건사고에 대해 해당 기업 및 기관에 과거보다 엄격한 잣대와 기준을 내세우는 분위기가 강해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런 정부의 태도가 기업들의 활동과 자율성을 제한하게 될 것이라 우려하는 시각이 있는 반면, 지금이라도 잘못된 문화는 바로 잡아야 한다는 주장 역시 팽팽히 맞서는 상황이다. 필자는 이런 문제에 대해 우리 나라의 산업재해 수준이 어느정도인지를 파악하여 현재 우리의 상황을 객관화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가장 위험한 직업군으로 꼽히는 군인이나 경찰, 소방대원보다도 훨씬 더 많은 사망자가 산업현장에서 나오고 있다. 기업의 이익률 감소, 자율성 침해가 자본주의 사회의 매우 중요한 고려 요인이 되는 것은 사실이나, 개개인의 목숨의 가치.. 2025. 8. 27.
대한민국 경제 위기의 전조? 석유화학·건설업 위기가 알리는 신호 대한민국 수출의 견인차 역할을 해왔던 석유화학 업종의 부진이 매우 심각한 수준입니다 또한, 내수 시장의 대들보 역할을 하는 건설업 역시 심각한 침체를 이미 겪고 있습니다. 수출과 내수 양쪽에서 큰 역할을 하는 산업들이 동반 부진을 겪자, 이를 두고 이러다가 진짜 잘못 되는거 아니야? 라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석유화학 업게 5위인 여천NCC의 부도 위기설이 돌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불과 5년만에 매출이 1/6 톡막 날 정도록 매우 심각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이것과 관련한 흐름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6HrQRemTPU 건설업 역시도 부동산 버블의 여파와 프로젝트 파이낸싱 문제 등으로 매우 심각한 상황.. 2025. 8. 23.
보리네주먹고기 '널 알고리즘' 방송. https://www.youtube.com/watch?v=7Rgcq6_bf4Q 한창 코로나로 힘들었던 시기에도 큰 관심을 주셨어서 감사합니다. 부끄럽지 않은 사업 계속 이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2025. 8. 23.
트럼프의 인신공격과 제롬파월의 알빠노 전략 : 점입가경 수장들의 갈등 "(제롬 파월 의장의) 지능 수준이 의심스럽다. 내가 해도 저것보단 나을 것이다" - 도널드 트럼프 미대통령 "신경쓰지 않는다. 연방준비은행은 정치로부터 중립적인 조직이다." - 제롬 파월 FRB의장 금리 동결에 흔들리는 권력의 줄다리기: 제롬 파월 vs 도널드 트럼프, 그 갈등의 배경과 향후 흐름2025년 7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기준금리를 4.25~4.50% 수준에서 동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시장이 예상한 바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정이었지만, 정치권,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제롬 파월 연준 의장 간의 갈등을 더욱 부각시키는 계기가 되고 말았습니다.이 글에서는 금리 동결이라는 경제적 결정이 왜 정치적 충돌로 이어지고 있는지, 그 이면의 복합적인 이해관계와 갈등의 본질,.. 2025.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