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영업3

한국 경제의 뇌관, 자영업의 위기. https://youtu.be/7x-ptsm-GEU?si=86unxV-KWz3sUBXR     자영업의 위기가 심상치 않다.  22년부터 줄곧 한국 경제의 위기와 정상화의 필요성을 역설해왔던 필자에게 붕괴의 진앙지가 어디가 될지는 늘 큰 관심사였다.    당시만 하더라도 가장 유력했던 주제는 부동산 관련 이슈였다. 워낙 말도 안되는 수준으로  높아져버린 집값과 이를 떠받치고 있는 기형적인 가계부채, 더하여 건설사들의 무분별한  욕망으로부터 발생한 PF문제까지 언제 터져도 이상하지 않은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 2년이 넘는 기간동안 구호만 집값 정상화를 외쳤을 뿐,  오히려 22년 하락했던 집값을 떠받힘은 물론이거니와 24년에는 급등시키는 신호를  시장에 주면서 더 큰 버블을 키웠다.. 2024. 10. 7.
(3)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 사업은 사업가의 마인드에 의해 분명하게 결정된다.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There's no such thing a free lunch)" 본래 미국 시카고 경제학파의 그루로 평가 받는 밀턴 프리드먼이 남긴 이 같은 명언은 경제 제도의 양면적 효과성을 뜻하지만, 최근에는 간결한 표현에 내포된 깊은 의미가 다방면에서 인용된다. 경험을 반추해 본다면, 그의 표현만큼 사업에 임하는 대표자 마인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표현은 드물다. 사업의 시작이 투자금 대비 수익률에 집중되어 있는 '투자자(investor)'이냐, 사업에 직접 참여하여 사업체와 운명을 함께할 함께할 '사업가(Entrepreneur)'이냐에 따라 사업의 전략과 속성이 달라지며 이에 따른 공짜 점심(free lunch)에 대한 관점이 바뀔 수 .. 2021. 1. 18.
(2) 선택지 : 인생은 타이밍 결론적으로 2015년 한미약품 주식투자는 엄청난 스트레스를 안겨줬지만, 다행스럽게도 좋은 결과로 끝을 맺었다. 집안의 경제를 이끌던 아버님의 부재(不在)가 피부로 와닿을수록 온전히 나로인한, 나의 힘에 의한 경제 생활이 무조건 필요하다는 압박감이 더해졌다. 대학원으로의 회귀라는 현실적 문제, 당장 경제 생활에 참여할 수 없다는 생각 등으로 나의 생활을 지키면서 경제적 이윤이 창출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한 수익이었지만 부동산에 투자하기엔 부족한 자금이었고, 주식 전업 투자로써 에너지를 쏟기에는 여러가지 한계점이 있었으며, 투자의 결과 역시 시나리오대로 흐르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에 투자자(investor)의 선택지는 가장 먼저 지웠다. 다행스럽게도 대학원 생활을 병행하며 .. 2021.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