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1

'정상화'의 시작, 부동산 시장에 대한 영향과 향후 방향에 대한 고찰.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과 함께 속도감있는 국정운영과 인선으로 탄핵으로 공석이었던 국가 컨트롤 타워의 부재 여파의 충격을 그나마 줄이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 증시에 대한 강력한 비젼을 제시하고 드라이브를 걸어주니 국내 양대 시장이 빠르게 상승하였고, 외환 시장 역시 빠르게 안정을 찾아가는 모습이다. 중요한 점은 필자가 늘 블로그를 통해 이야기를 전해 왔듯, 현재의 소비 침체의 원흉은 비성장적인 부동산 시장의 버블 현상에 있음이다. 더 이상의 투기를 막고 정상화로 가느냐가 한국 경제가 장기적으로 고통을 받느냐, 아니면 조금이라도 빠르게 다시 일어설 수 있느냐를 결정짓게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6.27 부동산 대책 발표는 매우 유의미한 내용을 담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6억 .. 2025. 7. 21.
새로운 정권의 시작, 과제와 방향성에 대하여 어떤 정당을 지지하느냐를 떠나 대한민국은 지난 7개월간 선장을 잃은 위태로운 배와 같았다. 코로나 시기 이후 급속하게 대한민국 경제 상황이 정말 큰 고생을 할 수 있는 굉장히 어려운 상황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나로써는 이번 정치적 공백이 청천벽력과 같은 소식이 아닐 수 없었다. 새로운 대통령이 당선되고, 주요 요직에 인선이 결정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그리고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두 가지 사항을 적어보고자 한다. 첫째, 새로운 정권이 들어선다 하여 지금까지의 상황이 빠른 시간 안에 좋은 방향으로 선회할 것이라는 기대조차 해서는 안된다. 지난 몇 년간의 기고 글들을 살펴보라. 오늘날 대한민국이 걸려있는 병은 급성 질환이 아닌 아주 천천히 그리고 구조적으로 진행되어.. 2025. 6. 26.
소비 지수에서 엿볼 수 있는 한국 경제의 심각성 "이정도면 경기 상황이 '심각' 수준을 넘어선다." 외식 사업에 있어 1% 안에 드는 훌륭한 사업체를 보유했다 자신하는 필자 역시도 최근 경기 상황과 상권의 분위기를 보면 탄식이 절로 나온다. 어쩌다 이렇게 됐다 싶을 정도로 현재의 상황은 그야말로 처참하다. 하나의 과장도 없이 필자의 골목에 운집한 업체들 중 90%이상이 부동산에 매물을 내놓은지 오래다. 그만큼 버티기가 힘들고 향후 미래를 어둡게 보기 때문일 것이다. 뭔가 다른 시그널이 감지된 최초 시점은 23년 하반기부터로 기억된다.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세부적인 매출과 비용관련 데이터를 축적해 오던 중 이때부터 뭔가 다른 느낌의 전체적인 하강의 압력을 느꼈다. 많은 사람들이 부동산 상승과 코인이나 주식 투자에 관심을 가졌던.. 2025. 1. 12.
분열과 혼란의 대한민국, 이대로는 정말 위험하다. 정말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경제와 경영 분야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써 현재의 상황은 그야말로 최악에 가깝습니다.   홈페이지에 종종 올려드렸던 글을 확인해 보시면  저는 참 오래전부터 작금의 상황처럼 될 한국 경제를 진심으로  걱정해왔었는데요. 이제는 우려 수준을 넘어 현실화가  되었다는 점에서 마음이 매우 무겁습니다.   작년 말, 가뜩이나 어려운 대한민국 경제에 엄청난 부담을  가중시키는 계엄과 탄핵관련 이슈가 발생했습니다.  그리고 2025년 새로운 한 해의 스타트 시점에서  여전히 양 진영간의 갈등과 분열, 혼란만을 키우며  민생이 도태되는 상황에 이르고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은 노선과 이데올로기의 분열과 갈등이  그 어느 때보다 심화된 상황으로 여겨집니다.  양 진영간의 갈.. 2025.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