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석박사38 융합(convergence) 마케팅, 시대의 필수 역량이 되다. 최근 바둑 열풍이 심상치 않다. 드라마 속 ‘미생부터 ’더 글로리’에 이르기까지 ‘세상의 축소판’인 바둑을 소재로 활용한 콘텐츠가 줄을 잇고 있다. 이 같은 바둑 열풍의 시작은 이세돌 9단과 구글의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고와의 대국 이후 더욱 가속화되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이 9단과 알파고의 대결은 크고 작은 사회적 이슈들을 양산하였는데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었다. 코스닥 시장에서 찬밥 취급을 받던 인공지능 및 로봇 관련 기업 주식들이 급등하였을 뿐만 아니라 코로나 시국을 거치면서 4차 산업의 핵심 기술로 지목되며 연일 장밋빛 미래가 점쳐지는 요즘이다. 그만큼 이 9단과 알파고의 대국은 인간에게 신선한 충격이자 새.. 2023. 1. 26. 2021년 9월 29일 라디오 방송 정리 이박사 성공TV 녹화파일이 준비되지 못하여 오늘은 원고를 올려드립니다. 2021년도 어느덧 4분기를 앞두고 있습니다. 얼마 남지 않은 2021년 끝자락에 국내외 주목해야 할 경제 이슈들을 정리해 드립니다. 매우 크고 중요한 흐름으로써 향후 중장기적으로 세계경제 및 대한민국 경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라 판단됩니다. --------------------------------------------------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이상석 교수 전화연결 되어 있습니다. 1) 오늘은 어떤 이야기 해볼까요? A1. - 2021년도 어느덧 3/4이 지나갔음. 작년 초부터 시작되었던 코로나19의 팬데믹 상황이 1년 반 넘게 지속되면서 답답한 상황이 계속 이어지고 있음. 특히, 경제 분야에서 있어서는 최근 국내외로 .. 2021. 9. 29. 종업원이 오래 버티지 못하는 회사. 기본부터 챙기자. 이유를 알아야 붙잡을 수 있다. 지난 2019년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306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에서 재직기간 1년 이하의 신입사원 퇴사율은 무려 27%를 넘어섰다. 지난 2016년 조사 결과가 23%였던 점을 감안하면 , 몇 년 사이 이런 흐름이 더욱 가속화돼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조사결과는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한 것일 뿐이다. 입사 2년, 3년 차로 올라가면 퇴사자들은 더욱 늘어나게 된다. 물론 이런 상황에 대해서 경영자들은 의아할 수밖에 없다. “어렵게 입사한 회사를 왜 그만둘까?”, “요즘 젊은이들은 인생에 대한 책임감이 없는 걸까?”라는 등의 생각을 한다. 하지만 이런 생각만으로는 현재의 퇴사 열풍을 막을 수 없다. 원인을 정확하게 알아야 해법을 찾을 수 .. 2021. 6. 13.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한 두 가지 고려 요인 기업의 성과는 누구로부터 만들어지는가? 기업이 성과를 냄에 있어 가장 중요하고 책임이 막중한 주체로 거론되는 자리가 최고경영자의 직위이다. 기업을 대표하는 얼굴이자 회사의 앞날을 결정짓는 영향력 있는 경영전략에 대해 최종 의사결정을 내리는 최고경영자 자리는 언제나 언론의 주목을 받게 된다. 이 자리가 더욱 무겁고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좋지 못한 성과를 보여줬을 경우 회사에 쏟아지는 우려와 비판을 최전선에서 받아내야 하는 상징성을 가졌기 때문일 것이다. 이는 마치 팀의 성적과 훈련 상황, 선수 육성, 전술 등을 총체적으로 책임지고 성적 여하에 따라 칭찬 또는 비난을 감수해야 하는 인기 스포츠 팀의 감독 역할과 같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고경영자의 상징적(symbolistic) 역할에도 불구하고.. 2021. 4. 16.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